본문 바로가기

미국생활 기본영어

벙어리 아빠 벙어리 엄마, 노 잉글리쉬는 자랑이 아녜요!


한국에서야 장식적인 효과정도로 밖에 여기지 않던 영어가 미국생활에서는 필수이다. 영어는 하면 좋고 안하면 그만인 것이 아니라 해야만 살아 갈 수가 있고, 먹고 살아가야 하는 생사가 달린 문제이기도 하다. 이렇게 영어를 해야하는 것을 모르고 미국에 와서 직접 부대끼며 겪어야만 했던 슬픈 사연은 나의 수기를 통해 소개한 적이 있다.

미국에 이민 온 부모는 한국인은 한국말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집에서는 한국말을 하도록 시킨다. 이럴 경우 부모는 참 편하다. 한국인이 한국어를 해야한다는 것을 못박아 놓고 집에서도 한국말을 하니 부모는 영어를 따로 공부할 필요가 없다. 아이들에게도 자존심을 지킬 수 있어서 좋다. 아이들이야 학교에서는 영어를 하고 집에서는 우리말을 배우니 이중언어를 습득해서 좋은데 자칫하면 부모는 영어와 담을 쌓고 살아가는 경우가 되어 버린다. 미국인들 속에 들어가서 영어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아닌 경우엔 쉬운쪽으로 선택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서 최악의 경우엔 부모가 영어를 포기하고 살아가는 길을 선택하기도 한다.

포기하는 이유도 간단하다. 미국에서 쓰는 영어는 우리가 그동안 한국에서 배워온 문법, 문장, 숙어, 단어 이런 것들이 아니라 말(스피킹)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의 영어교육의 폐단이 한 눈에 드러나는 현상이다. 문법, 문장, 숙어, 단어 이런것들에 익숙한 이민자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 삶과 영어는 별개의 세상 같다. 한인을 상대로한 비지니스를 하거나 미국인을 상대로한 비지니스를 하더라도 잠시 비지니스에서만 비지니스 영어를 대충 사용하고 다시 한인이 사는 한인타운에서 생활하고 집에서도 한국어를 쓰기 때문에 영어의 발전에 한계가 있다. 미국에 살면서 누릴 수 있는 미국방송의 특권조차 버리고 한국방송, 심지어 한국비디오만 듣고 보니 영어가 늘 수가없다. 말하는 것을 두려워 하니 들리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결국은 미국생활을 하면서도 아이들에게 도움을 청하면서 미국생활에서 발생되는 일을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모순을 생각해 보라. 한국에서 기본적인 한국어를 배우고 온 아이들이 어른들이 생각하는 사고구조를 이해할 수 있겠는가? 보지 않아도 뻔한 오류를 범할 준비가 되어 있다. 한국어와 영어를 둘다 잘한다는 우리의 생각을 뒤집고 이민 1.5세의 아이들은 한국어도 제대로 못하고 영어도 제대로 못하는 어정쩡한 수준에 있다는 사실을 입밖으로 말을 할 수조차 없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1.5세의 한국어와 영어의 구사능력은 반비례법칙에 따른다. 즉 한국어를  잘 할수록 영어는 못하고 영어를 잘하면 한국어는 못한다. 미국에 이민온 햇수와 미국인들에게 노출된 만큼 영어실력은 늘어가고 한국어는 정지 상태이거나 준다. 아주 어려서 이민 온 아이들은 한국어를 못하는만큼 영어실력이 월등하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이 법칙은 적용된다.

한국어를 완벽하게 구사할줄 아는 부모가 영어를 하게되면  그만큼 유리하다. 처음에야 어렵지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영어로 표현하기가 아이들보다 쉬워진다. 집에서 그리고 교회에서 아이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정성만큼 부모도 영어를 배우는 정성이 필요하다. 한국의 아이들은 부모에 순응하도록 길들여져서 이것조차 밖으로 표현하지 못하는데 안으로는 불만이 쌓이게 된다. 그리고 머리가 커지면서는 부모를 멀리하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그 이유는 언어가 의사소통의 장인데 그 소통이 원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뉴욕시 한인타운의 학교에 자녀를 둔 집에서는 모든 전갈이 한국어로 보내지고 공공기관에서는 통역이 지급되므로 영어를 더욱 등한시 하고도 살아간다. 그러나 영어권에서 영어를 못해서 겪어야할 고통은 날마다 벌어진다. 영어를 못하면 우선 작고 적게 금전적으로 손해를 본다. 세계의 선두를 달리는 장한 아이들을 둔 한국부모들이 영어를 못(포기)하는 진상은 과연 무엇일까? 앞에서 언급한대로 영어라는 말(speaking)을 해야하는데 문법(grammar)을 통해 문장을 만드느라 정작 해야할 말(speaking)이 튀어나오질 않는다. 벙어리 엄마 벙어리 아빠가 되는 길을 선택하기는 쉽다. 어디서 전화가 오면 전화를 받으라고 아이들을 부른다. 아이들이 집안의 통역사 역활을 한다. 아이들이 없으면, 전화기에 대고 한다는 말은, "노 잉그리시! 노 스피크!"



다음은 최근에 뉴욕일보에 오른 기사이다. 

"한국어·영어 둘다 못하는데… 실수 두려워" 청소년 부모 통역 "부담감 느낀다"

부모를 위해 ‘언어 중개인(Language Broker)’ 역할을 하는 뉴욕시 아태계 청소년들의 심적 스트레스가 상당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아동가정연합(CACF)이 16일 발표한 보고서 ‘레코딩 보이스: 뉴욕시 아태계 청소년들의 언어 중개인 이야기’에따르면 영어구사 능력이 부족한 대다수 아태계 가정의 부모들이 공공서비스 등의 혜택을 받는데 있어 자녀들에게 통역을 의존하는것으로 조사됐다.






2013/8/20 업데이트 하면서 아래 시를 추가한다.

아래 시는 델리에 내 그림들과 함께 붙여 놓았던 것인데 오래된 짐을 정리하다 나와서 여기 소개한다.
미국에 아이들을 가르치러 나라를 떠나 사는 부모는 어느날인가부터 아이들과 동떨어져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단어 하나도 모르는 아이들에게 단어를 가르쳐 주면서 시작하는 미국생활에서~
아이들은 문화와 언어에 저절로 적응이 되는데 반해 어른은 노력하지 않으면 영어권에서 외톨박이가 되고 만다.
사회의 외톨박이가 아니라 가족의 외톨박이,

이것은 와이프와 자식을 멀리 떠나 보낸 기러기 아빠에게도 해당된다.
기러기 엄마는 아이들과 생활하므로 나은데 그렇지 못한 기러기 아빠는~
떠나간 기러기 엄마와 기러기 아이들과의 갭이 해가 갈수록 커져간다는 것을 알길이 없다.

더 잇고 싶은데 다른 기회에 이러 가려고 한다.





Elena
By Pat Mora

My Spanish isn’t good enough.
I remember how I’d smile
listening to my little ones,
understanding every word they’d say,
their jokes, their songs, their plots,
Vamos a pedirle dulces a mamá. Vamos.
But that was in Mexico.
Now my children go to American high schools.
They speak English. At night they sit around
the kitchen table, laugh with one another.
I stand by the stove, feel dumb, alone.
I bought a book to learn English.
My husband frowned, drank beer.
My oldest said, “Mamá, he doesn’t want you
to be smarter than he is. “I’m forty embarrassed mispronouncing words,
embarrassed at the laughter of my children,
the grocer, the mailman. Sometimes I take
My English book and lock myself in the bathroom,
say the thick words softly,
for if I stop trying, I will be deaf
when my children need my help.
God is able
영어호흡 잭스피킹



posted by 써니의 뉴욕노트 & 잭스피킹 호흡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