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이름표기:우리말 이름 석자와 국제화시대
Մի երկրում, այլ այբբենական նիշ, միայն թվում է տարօրինակ նշանները.
우리 한국인에게 조상대대로 내려온 성씨와 부모가 작명한 이름은 무엇과도 교환할 수 없는 개인이 가진 고유한 것으로 각인되어서 한국어를 영어로 옮긴다는 것부터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세계에 나가서 영어를 사용하는것은 일제시대에 강제로 일본어를 쓰는 것과 다른 이야기인데 우리말 대신 영어를 쓰는것이 마치 우리나라에 반대하거나 비하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세계대회에 한국인임을 알리면 되지 개인의 영어이름이 무슨 의미가 있어?" 이 말은 "우리끼리 더 잘먹고 더 잘사는데 우리말도 아닌 영어로 뭐라고 부르던 무슨 상관이야?" 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세계대회에 참가한 운동선수나 참가자가 경기나 대회가 있는 그 잠깐동안 쓰다 그냥 지나갈 이름이 한국에서 한국인이 생각하는 영어이름인 듯하다. 한국이름을 빛내면 된다는 식이다. 세계화의 시대에 이런
처음에 미국에 와서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고 학교에 가니 선생님이나 다른 학부형이 내 아이의 이름을 한국이름과 다르게 불렀다. 즉 그들은 영어표기된 대로 읽었고 나는 한국이름 석자를 하나씩 또박또박 발음하면서 "니가 부르는 그 이름은 우리 아이가 아니야."라고 부인했었다. 그들이 우리아이 대신 다른 사람, 아니 자신이 부르고 싶은대로 지칭하면서 한국이름을 무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래서 미국인들 앞에서 여러번 우리 아이의 한국이름을 강조했던 기억이 난다. 내가 한국이름을 강조하면서 만번 불러도 그들 즉 미국인들이 우리아이의 이름을 나와 똑같이 즉 한국사람과 똑같이 발음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데는 꽤 시간이 걸렸다. 그뒤에 미국인들과 더 많은 대화를 하고 살면서 차츰 영어 소리와 우리말 소리의 근원이 다르고 그래서 대부분의 우리말 어휘를 알파벳으로 옮겨쓰는 것이 불가능하고 우리말 어휘를 영어로 옮겨놓아도 우리말하는 방식대로 발음을 하지 못한다(소리를 내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잭스피킹 영어소리 즉 잭스피킹 영어호흡과 직결된다.
우리말의 이름 석자를 또박또박 하나씩 나누어서 우리말 방식대로 읽고 영어로 표기하면 이런 오류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우리말의 아름다운 "아람"이라는 이름을 영어로 표기하면서 "알람"으로 표기한 것이다. 우리말의 이름 석자에는 글자 하나에 하나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글자의 소리를 나누어서 읽고 써야 하는데 반해 영어는 한 글자가 아닌 한 단어를 소리로 글자를 읽는다. 근본적으로 언어가 만들어진 기본바탕이 서로 다른것을 알수 있다. 여기서 한국어와 영어라는 언어의 갭이 생기는 것이다. 그 갭을 어떻게 메꾸어야할까?" 내 생각에 아람이란 이름은 우리말 같은데 왜 두 글자를 나누어서 소리내고 번역을 했는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소리가 아름다운 우리말 이름을 갖고도 영어표기 "L"발음 "R"발음 하나 다르게 표기해서 전혀 다른 이름이 되어 버렸다. 예쁜 이름을 갖고도 제대로 영어로 표기하지 못한 것이 열심히 싸우고도 승리자가 되지 못한 펜싱경기 결과만큼이나 안타깝다.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는 5000년 동안 이렇게 써왔으니 너희들이 하는대로 따라가기 싫다."는 말은 세계화 국제화 시대에 고립되면서 우리의 찬란한 문화를 지키겠다는 말이다. 아래 그녀의 이름이 잘못 나온 기사들을 볼 수 있다. 이렇게 한번 세계의 기사에 오른 이름을 바꾸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러니 여권을 처음 만들때는 아주 신중하게 생각하고 영어표기를 해야할 것이다. 여권 영어이름표기에 더 신중을 기해야한다. 홍길동이라는 사람이 미국에 가서 한국의 찬란한 문화를 지키려고 하면 홍동 아니면 동홍이 되는 좋은 본보기이기도 하다.
이글을 쓰고 있던 과정에서 어떤 분이 다른글(여권 영어이름 표기-이(李)씨성, 노(盧)씨성:소리비교) 댓글에 자신의 이름을 영어로 어떻게 표기하는 것이 좋은가? 물은적이 있는데 거의 비슷한 유형이었다.
슬아 : 제 이름은 이슬아 인데요 오늘 여권을 만들러 가서 이름을 쓰니 하이픈을 빼라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seul-ah라고 쓰던 이름을 seulah 로 쓰고왔는데 그럼 슬라로 발음될것 같아서 seura와 두개를 두고 고민했는데 결국 seulah로 쓰고나왔내요 이거 괜찮을까요? 방금신청했는데.. 바꿔버릴까...
Sunny in New York : SOORA가 좋을것 같은데 바꿀 수 있겠어요?
Tearful Korean fencer stages sit-in protest at Olympics
July 30, 2012
South Korean fencer Shin Lam sobbed as she held a 75-minute protest after being denied a place in the final of the epee at London 2012.
Shin thought she had guaranteed herself at least a silver by winning her semi against Germany's Britta Heidemann - but the clock, which had apparently run down, suddenly changed from zero to one second remaining. And when the action resumed, Heidemann landed a decisive hit to take victory.
The Korean coach furiously launched an appeal against the decision to let the fight continue after the clock controversy, and it was half an hour before the crowd were told Heidemann's victory was to stand.
Shin broke down in tears and remained on the piste in order to validate her appeal: if she left, it would have been deemed an acceptance of defeat. She was escorted off 75 minutes later.
She was back in action a few minutes later for the bronze contest, which she lost to world No. 1 Sun Yujie.
Shin said: "I think it's unfair. The one second was over - I should have won. The hour was really difficult, but I thought if I got a yellow card [for leaving the piste] I might not be able to fight for bronze. I'm very sorry for the spectators. They spent a lot of money and I just don't understand how this could have happened."
참고: http://www.espn.co.uk/london-olympics-2012/sport/story/162876.html
South Korea's Shin Lam Loses Bronze after Protest Fencing Controversy
South Korean fencer Shin Lam sobbed as she held a 75-minute protest after being denied a place in the final of the epee at London 2012.
Fencing: Distraught South Korean Shin Lam says 'I should have won' following clock controversy at London 2012
Fencing: South Korean Shin Lam in tears amid major London 2012 controversy
Miss Universe 2009 FULL SHOW
4:26 RINA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한 나리 라는 미스코리아의 이름은 우리말 이름으로는 성씨가 "나" 이고 이름이 "리" 라고 하는데 다른 나라 사람들의 이름이 본이름과 성씨를 따로 써서 두글자인데 반해 나리의 영어이름은 화면 속에 RINA 한 글자로 쓰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이름을 쓰면 뭔가 허전해 보인다. 그 이유는 RINA를 이렇게 붙여서 하나로 쓸 것이 아니라 두 글자로 나누어서 RI NA로 써야할 것을 잘못 쓴것이다. 한마디로 이 사람에게 이름은 있는데 성이 없다. 개인에게 이름도 중요하고 그 이름만큼 성씨도 중요하다. "나리"라는 아름다운 우리말 이름이 영어로 표기 되면서 순식간에 "리나"가 되었는데 성씨 없는 이름이 되어 버렸다. 내 말이 이해가 되질 않으면 유심히 다른 참가자들의 이름을 살펴보라. 이름을 먼저 성씨를 뒤에다 쓰면서 두 글자로 나누어 표기되어진 것이 명백한것을 볼 수 있다.
페이스북 영어이름 순서로 이글까지 찾아오는 분들이 있다. 우리가 세계화 하려면 오픈된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보라색 글자가 성씨(family name) 즉 영어표기의 last name이다.
DENISA MENDREJOVA
SOFIA RUDYEVA
ANGELIKA JAKUBOWSKA
INDIANA SANCHEZ
HAPPIE NTELAMO
KARLA CARRILLO
GONA DRAGUSHA
Sarah Chang
Sarah Chang (Korean: 장영주) (born Young Joo Chang, on December 10, 1980) is an American classical violinist. Her debut came in 1989 with the New York Philharmonic and the Philadelphia Orchestra. Shortly thereafter, Chang was recognized as a child prodigy. She enrolled at Juilliard School to study music, graduating in 1999 and continuing university studies. During the 1990s and 2000s, Chang had major roles including being a soloist with the New York Philharmonic. She has also performed in countries such as England, France, Germany, Netherlands, China, South Korea, and Japan. She has collaborated with most major orchestras, including the New York Philharmonic and Berlin Philharmonic. For the 2004 Olympics, she was chosen to participate in the Olympic Torch relay in New York.[2] Yale University dedicated a chair in Sprague Hall for Chang's name in 2005.[2]
by Wikipedia
Yoko Ono
Yoko Ono (オノ・ヨーコ, also 小野 洋子 Ono Yōko?, born February 18, 1933) is a Japanese[1] artist and peace activist, known for her marriage to John Lennon (1969–1980) and her work in avant-garde art, music and filmmaking. Ono brought feminism to the forefront in her music (which prefigured New Wave music) and is also known for her philanthropic contributions to arts, peace and AIDS outreach programs. Lennon called her "the most famous unknown artist in the world.
by Wikipedia
Hu Jintao
This is a Chinese name; the family name is Hu.(이렇게 따로 이것이 "중국이름"임을 언급하고 있다.)
Hu Jintao (pinyin: Hú Jǐntāo, pronounced [xǔ tɕìntʰɑ́ʊ]; born 21 December 1942) is the Presid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e was the leader of the fourth generation of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e was General Secreta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from 2002 to 2012 and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of the CPC from 2004 to 2012. His current term as President ends in March 2013.
중국의 대통령이름인데 우리처럼 성씨를 먼저 쓰고 있다.
Shinzō Abe
In this Japanese name, the family name is "Abe".
Shinzō Abe (安倍 晋三 Abe Shinzō?, [abe ɕinzoː] ( listen); born 21 September 1954) is the current Prime Minister of Japan, in office since 2012. A Japanese politician, he has been President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LDP)[2] and the chairman of the Oyagaku propulsion parliamentary group. Abe was the 90th Prime Minister of Japan, elected by a special session of the National Diet on 26 September 2006. He was then Japan's youngest post–World War II prime minister and the first born after the war. He served as prime minister for less than a year, resigning on 12 September 2007.[3] He was replaced by Yasuo Fukuda, beginning a string of Prime Ministers who did not maintain the position for more than one year.[4] On 26 September 2012, Abe defeated former Minister of Defense Shigeru Ishiba in a run-off vote to win the LDP presidential election.[5] Abe became the Prime Minister again following the LDP's landslide victory in the 2012 general election with a government on
일본 총리의 이름이다. 영어이름에 성씨를 뒤에 표기했는데도 그 아래에 성씨를 다시 기록한 이유는 영어이름 표기할 때에 중국과 한국이 성씨를 먼저 표기해서 일본도 그렇게 썼을 것으로 추정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해서 혼동이 되지 않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영어이름 표기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이름을 영어로 표기한 것을 보면 성이 앞에 오고 이름이 뒤에 가는데 왜 이렇게 표기했을까?
Syngman Rhee 전주 이씨
Yun Bo-seon
Park Chung-hee
Choi Kyu-hah
Chun Doo-hwan
Roh Tae-woo
Kim Young-sam
Kim Dae-jung
Roh Moo-hyun
Lee Myung-bak 경주 이씨 慶州李氏
Park Geun-hye
Syngman Rhee
Syngman Rhee or Yi Seung-man (Hangul: 이승만; Hanja: 李承晩; Korean pronunciation: [iːsɯŋman]; March 26, 1875 – July 19, 1965) was the first presid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well as the first president of South Korea. His latter three-term presidency (August 1948 to April 1960) was strongly affected by Cold War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Rhee was regarded as an anti-Communist and a strongman, and he led South Korea through the Korean War. His presidency ended in resignation following popular protests against a disputed election. He died in exile in Honolulu, Hawaii.
by Wikipedia
영어표기법에 따라서 이름 먼저 성씨를 나중에 쓰고 "한글 이름"을 한글로 따로 넣은 것이 내 눈엔 보기 좋다,
Kim Dae-jung
This is a Korean name; the family name is Kim.(이렇게 따로 이것이 "한국이름"임을 미리 말하고 있다.)
Kim Dae-jung (Korean pronunciation: [kimdɛdʑuŋ] 3 December 1925[1] – 18 August 2009[3]) was the eighth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1998 to 2003, and the 2000 Nobel Peace Prize recipient. He came to be called the "Nelson Mandela of Asia"[4] for his long-standing opposition to authoritarian rule.
by Wikipedia
왜 한국대통령 이름을 영어로 표기할때 우리말 이름 쓰는 방식대로 쓸까? 영어는 국제적인 통용어이고 영어로 이름을 표기할때에는 본 이름(given name)을 먼저 성씨를 뒤에 쓰기로 국제적으로 약속을 하는 것인데 영어식 이름표기 방식을 따르지 않고 우리말 방식의 표기법을 따르는 것이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일까? 이것은 국제간의 약속을 지키지 않는 일일 뿐더러 영어권에서는 혼동이 되어 간단히 처리될 일도 더 복잡하게 되고 만다. 더불어 세계화는 멀어지는 일이다. Syngman Rhee는 한국의 정통성을 지키지 않은 대통령이고 Kim Dae-jung은 한국의 정통성을 지킨 대통령으로 구분하는 것은 논리적이지 않다.
Park Geun-hye
This is a Korean name; the family name is Park. (이렇게 따로 이것이 "한국이름"임을 미리 말하고 있다.)
Park Geun-hye (Hangul: 박근혜; Korean pronunciation: [pak.k͈ɯnh(j)e]; born 2 February 1952) is the eleventh and current President of South Korea. She is the first woman to be elected as President in South Korea, and is serving the 18th presidential term.[3] Prior to her presidency, she was the chairwoman of the conservative Grand National Party (GNP) between 2004 and 2006 and between 2011 and 2012 (the GNP changed its name to "Saenuri Party" in February 2012). Park was also a member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had served four consecutive parliamentary terms as a constituency representative between 1998 and 2012; starting her fifth term as a proportional representative from June 2012. Her father was Park Chung-hee, President of South Korea from 1963 to 1979.[4] She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oliticians in Korea since the presidencies of the two Kims: Kim Young-sam and Kim Dae-jung.[5]
by Wikipedia
새대통령 이름도 업데이트했는데 같은 원리이다.
영어이름표기할때에 성씨를 보라색으로 표시했는데 다시 올라가서 한번 보고 내려와 보라.
중국인과 한국인이 영어이름표기할 때 성씨를 자국의 언어 쓸때처럼 앞에다 써서 발생되는 에피소드도 종종 있다. 한 미국인이 중국인 친구의 비행기 티켓(항공권)을 샀는데 그 중국인 친구가 비행기를 타려고 공항에 도착해서 보니 자신의 이름이 없었다. 다르게 확인할 길은 confirmation number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미국인 친구는 성씨를 뒤에다 말했을 것이고 중국인 친구는 앞에다 말을 해서 이런 유사한 일이 자주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일이 꼬여서 질리게 되면 해외여행 가기 싫어진다. 영어가 안되면 일이 꼬여도 왜 꼬였는지조차 알길이 없다.
confirmation number : Code assigned to identify, record, and trace a confirmed booking.
confirm : agree
국내에서 쓰는 우리말 이름은 지금 우리가 쓰는대로 성씨를 앞에다 쓰고
그래도 화가 안풀려? 가서 자라! 아래글은 더 화나게 만들것이다. 왜 화가 나?
그것은 아마도 내 글 때문이 아니란걸 너도 알걸! 부정하고 부인하면 맘이 좀 편해져? 그렇담 그렇게 해~
아무리 화가 나도 여기다 욕은 남기고 가지 마라~
스스로 진실해지는 그 날이 올것 같아?
눈을 감고 진실하게 살고 있는지 한번 생각해보아.
우리 진실한 사람이 되자.
아래에 올린 카툰은 어떤 분(혼돈)이 나의 글에 댓글을 달고 가셨는데 링크한 곳에 가서 발견한 것이다. 카툰은 글자보다 눈에 쉽게 들어와서 보고 흥미로워서 관련글을 올리려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내가 생각하는것을 올리기 전에 여기다 한번 올려본다. 덕분에 이글은 오랫만에 업데이트가 되었다. 무슨 댓글이었는지 궁금하면 아래 댓글란을 참고하기 바란다.
위 카툰 참고:http://koreablog.korea.kr/
이 글은 뉴욕시간 2015/2/8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영어로 생각하기(Think in English) 왜 필요한가?
미국생활영어-10 자신을 소개하는 방법
싸이 강남 스타일이 "콘돔 스타" 된 이유
영어이름 Suck(석)
영어이름표기순서:성씨 왜 뒤에 쓸까?
영어에는 왜 두음법칙이 없을까?
호흡영어 잭스피킹
여권 영어이름 표기-이(李)씨성, 노(盧)씨성
여권이름표기:영어의 미들네임과 우리이름 석자 그리고 하이픈(-)